한.은에서 A.I관련해서 만든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내용이 좋내요.
AI노출도가 높으면서 소득도 높아질 직업과 노출도가 높으면서 소득이 낮아질 직업군도 분류되어 있네요.
일단은 소프트웨어 중심이긴한데 범용 휴머노이드가 나오면 블루컬러의 일자리도 빠르게 잠식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이 있다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미래의 노동력 부족에 시달리게 될 것이 명약관화한 대한민국에서 로봇과 AI는 반드시 가야만 하는 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간략히 요약하면
1. AI는 최근 급격한 기술발전을 통해 글로벌 혁신의 핵심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는데, 특히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 중인 한국에서 더욱 중요한 경제적 의미를 지닌다.
2 모형 시뮬레이션 결과, AI 도입은 한국경제의 생산성을 1.1~3.2%, GDP를 4.2~12.6% 높
일 수 있는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는 고령화와 노동공급 감소로 인한 성장 둔화를 상당
부분 상쇄할 수 있는 수준이다.
3 다만 AI 도입에 따른 생산성 증대 효과는 모든 기업에 보편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대기업과 업력
이 긴 기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더욱 심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 국내 일자리 중 절반 이상(51%)이 AI 도입에 큰 영향을 받을 것이다. 전체 근로자의 24%가 AI
로 인해 생산성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높은 노출도, 높은 보완도” 그룹에 속하며, 27%가 AI에 의
해 대체되거나 소득이 감소할 가능성이 큰 “높은 노출도, 낮은 보완도” 그룹이다. 특히 여성, 청
년층, 고학력·고소득층에게 AI는 위기이자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
내 노동시장의 경직성과 이중구조는 근로자의 원활한 일자리 전환을 가로막는 요인이다.
5 마지막으로 한국은 선진국 대비 우수한 디지털 인프라와 혁신 역량을 보유해 AI 도입에 대한 준비
가 잘 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AI 준비 지수 165개국 중 15위). 그러나 인적자본 활용과 노동
시장 정책측면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크다고 판단된다. 교육 및 재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노동시장
의 유연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는 맞춤형 정책(targeted
policies)이 필요하다.BOK 이슈노트
AI와 한국경제■ 본 자료의 내용은 한국은행 혹은 International Monetary Fund의 공식견해가 아니라 집필자 개인의 견해라는 점을 밝힙니다. 따라서 본 자료의 내용을 보도하거나 인용할 경우에는 집필자명을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논고 작성에 많은 도움을 주신 이홍직(경제통계2국 부국장), Rahul Anand(IMF Mission Chief for Korea)에게 감사
드립니다. 본 자료는 IMF Selected Issues Paper (and a forthcoming IMF Working Paper) “Transforming
the Future: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Korea”의 국문 버전이며, 본문에 남아있는 오류는 저자의 책
임임을 밝힙니다.
오삼일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연구팀 팀장
Tel. 02-759-4232
samil.oh@bok.or.kr
장수정 한국은행 조사국 조사총괄팀 조사역
Tel. 02-759-4254
crystalj@bok.or.kr
이수민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연구팀 과장
Tel. 02-759-4397
alephs@bok.or.krZexi Sun
International Monetary Fund,
APD, Economist
zsun@imf.org
이하민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연구팀 조사역
Tel. 02-759-4154
hamin@bok.or.krXin Cindy Xu
International Monetary Fund,
APD, Senior Economist
XXu2@imf.org
[제2025-2호] AI와 한국경제 | BOK 이슈노트(상세) | 조사연구 | 뉴스/자료 | 한국은행 홈페이지
[제2025-2호] AI와 한국경제 | BOK 이슈노트(상세) | 조사연구 | 뉴스/자료 | 한국은행 홈페이지
1. AI는 최근 급격한 기술발전을 통해 글로벌 혁신의 핵심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는데, 특히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 중인 한국에서 더욱 중요한 경제적 의미를 지닌다. 2. 모형 시뮬레이션 결과, AI
www.bok.or.kr
'경제 뉴스 생각하며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남아시아, 원자력 에너지 도입 본격화 (0) | 2025.03.10 |
---|---|
현존 최강 A.I. 그록3(Grok3) 무료 사용 (사이트 안내) (1) | 2025.03.06 |
현대차, 기아, 지난달 美서 12.5만대 판매!!! 역대 최고 실적 (2) | 2025.03.05 |
부동산 시장 전망에 대한 의견들 : 앞으로 살아남을 지역은? (2) | 2024.03.05 |
(2024.3.5일) 생각하며 뉴스읽기 : 쌀보다 고기 더 많이 먹는 한국인 - 인당 60㎏ 돌파!!! (1) | 2024.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