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의 국내, 국외 주요 뉴스 8선
1. 은마아파트 재건축 조합설립인가 (10.03)
https://www.sedaily.com/NewsView/29VSWN6VXB
조합설립인가 받은 은마아파트…양재천변 달라진다 [집슐랭]
서울 강남 재건축 아파트의 상징인 대치동 은마아파트가 재건축 사업을 추진한 지 무려 27년 만에 조합설립인가를 받은 가운데 ...
www.sedaily.com
1991년 친구가 살았던 은마아파트! 그때도 낡았었고 주차는 힘들었고...
그 아버지는 경제관련 일을 하셨는데 결국 은마를 쌀때 팔고 남양주로 가셔서.. 돈은 벌지 못하셨다는 ㅎㅎ
아무튼 강남 불패의 새로운 신화가 탄생 할 것인가?
메트로 도시로서 김포등을 병합하여 서울의 확장이 이루어진다면 과연 강남은 어떻게 변할 것인가?
2. 하마스, 이스라엘 습격으로 신중동 전쟁 발발 (10.08)
https://www.sedaily.com/NewsView/29VV91W240
'중동 화약고' 다시 불붙나…이스라엘, 전쟁경보 발령
‘중동의 화약고’라 불리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통치하는 무장 정파 하마...
www.sedaily.com
21세기에 무슨 전쟁이야.... 이랬던 사람들이 많았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부터 하마스의 습격까지 인간의 본성은 바뀌지 않았다는 점.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는 갈수록 어렵게 되었다는 점... ㅜㅜ
금, 달러, 코인, 원유에 대한 투자 기회를 엿보아야 할 때!
3. 의대 정원 확대 검토 시작 (10.13)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525109?sid=102
[단독]‘2025학년도 의대 정원 확대’… 尹, 이르면 내주 직접 발표
윤석열 대통령이 조만간 2025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 확대 계획을 직접 밝힐 것으로 보인다. 12일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정부는 이르면 다음 주 윤 대통령이 직접 의대 증원 방침과 규모를 발표하
n.news.naver.com
최초로 300명에서 500명의 증원을 논의하기 시작했는데 더 많이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많네요.
다만 의사단체에서는 반대입장이지요. 이유는 많이 대지만 밥그릇 싸움이라는 인식을 갖는 것은 어쩔수 없겠죠.
변호사의 경우 로스쿨 전환이후 수입이 엄청 줄었는데 의사의 수입은 더 늘었거든요.
https://biz.chosun.com/topics/topics_social/2023/10/12/QWCEIJPDMFGL7L5JQOY6QII2FE/
영유아도 입시지옥…영어유치원 6곳 중 1곳, ‘4세 고시’ 본다
영유아도 입시지옥영어유치원 6곳 중 1곳, 4세 고시 본다 하루에 9시간36분 수업하는 영어유치원도
biz.chosun.com
영유아를 위한 의대반이 나온다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교육적으로도 심각한 문제라고 보입니다.
일종의 아동 학대라고 생각될 정도네요. 부모의 욕심이 지나치구나 생각되면서도 살기가 팍팍해진 현대사회의 단면을 보는 것 같아서 씁쓸합니다.
4. 카카오엔터 임직원 구속 ( SM 주가 조작 혐의 10.14) 및 카카오 전 대표에게 향한 비난지속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01/0014260518
금감원, 'SM 시세조종 의혹' 카카오 투자총괄대표 등 구속영장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주가 시세조종 의혹이 제기된 카카오와 카카오엔터 임직원 3명에 대해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금감원 자본시장특별사법경찰(특사경)은 주가 시세조종 의혹
n.news.naver.com
지난 정권에서 승승장구하던 카카오, 이제는 변화된 시대정신에 맞게 살아남을 수 있을까?
https://www.youtube.com/watch?v=z8yL7h6WH54
네이버와 많이 비교되는 카카오 대주주와 임직원들의 태도와 행동이 자주 뉴스에 오르고 있네요.
투자에서 큰 리스크중 하나가 대표나 오너리스트인데요 참고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티스토리도 카카오꺼 ㄷㄷㄷ
5. 기준금리 3.5% 동결 (10. 21)
https://newsis.com/photo/graview/?id=NISI20231019_0001389562
[그래픽] 한·미 금리 차 2%p 역대 최대
[서울=뉴시스] 18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우리나라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3
www.newsis.com
한국은 기준금리 3.5%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사실 금리를 올려야 하는 게 맞는데 쉽지 않은 것은 경기악화로 가정이나 소규모 기업, 자영업자들의 상태가 안좋은데 빚도 많아서 입니다. 대출량이 줄지 않는 것이 큰 문제입니다. 대기업도 빚에 허덕이고 있는 곳이 있다고 하네요 ㄷㄷㄷ
기준금리를 올리게 되면 많은 곳에서 심각한 상황이 발생하고 사회불안이 올 것이 뻔하기 때문에 내년에 총선이 코앞인 여당으로서는 선택하기 힘든 결정이겠지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저금리 기대 말고 영끌로 부동산 사지말라'며 경고를 하고 계십니다. 반면에 미국은 기준금리를 거침없이 올려왔습니다. 우리나라와 2%p로 역대 최고의 금리차이인 상태입니다. 외환보유고는 넉넉하지만 점차 줄고 있습니다. 강달러 기조가 지속될 수 밖에 없지요. 연말이나 연초에는 더 특단의 금리 상승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시기입니다. 현금 흐름 창출, 현금 보유 증가가 중요한 시기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7120645
[문답]한은 총재 "1%대 금리 쉽지 않아", 무리한 부동산 투자 경고
김유승 김혜지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9일 "중동 사태로 인해 물가가 예상 경로를 벗어나면, 특히 기대 인플레이션이 고착화되면 기준금리 인상을 심각하게 고려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n.news.naver.com
이창용 총재님은 꾸준히 바른말을 해주고 계시네요. 경고의 메시지를 가볍게 여기면 안되겠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43/0000051779
韓 저성장 늪으로…이창용 한은 총재 “경기침체 맞다”[2023 국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1.4%로 잠재성장률 2%를 하회해 “경기침체가 맞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23일 서울 중구 한은 본점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
n.news.naver.com
6. 영풍제지 하한가, 키움증권 미수금 공시 (10. 24)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31024/121815018/1
“키움증권 뒤늦은 리스크 관리”…주가 폭락에 개미들 ‘울화통’
키움증권이 영풍제지 하한가 사태로 발생한 5000억원의 미수금 규모를 밝히면서 주가가 폭락했다.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가 물량을 내던지면서 하루에 주가가 23% 넘게 빠져 투자자들…
www.donga.com
주식 투자에서 리스크 관리 기법중에 제일 중요한 것은 분산투자입니다. 블랙스완 리스크가 투자에서도 있을 수 있기때문인데요. 몰빵을 하다 깡통차는 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키움증권은 주주환원정책으로 시장에서 호평 받으며 급등했다가, SG와 영풍사태로 인해서 역으로 급락하는 중입니다.
투자의 분산이라는 것은 기업들에 대해서, 그리고 시간적으로 적절한 분산 및 분할매매를 해야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좋은 회사를 찾아야 하고 찾은 기업을 최소 몇 년 이상은 길게 보면서 투자를 해야합니다.
최근에 의미있게 보았던 최준철 대표님 특강 입니다. 길게 보고 진행하는 투자의 정석입니다.
https://youtu.be/cRx_8XDbf4A?si=Arycn7j-nLdSmJb3
7. 중국 리커창 전 총리 사망 (10. 2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96004
中 온라인 ‘리커창 애도’… ‘시진핑 경제정책’ 검색어가 덮었다
27일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난 리커창(68) 전 총리에 대한 추모가 중국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이어지고 있다. 공식 부고 발표 이외에 별다른 움직임이 없는 중국 당국의 분위기와는 상반된다.
n.news.naver.com
요직 중의 요직, 핵심 중의 핵심인 총리 사망인데... 너무나 스무스하게 조용히 지나가는 쎄한 이 느낌은 무엇?
음 진핑이 형도 푸틴 형과 다르지 않구나...
최고 권력자 주변에서는 지금도 삼국지, 초한지가 진행 되고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겉으로는 평온해 보이는 물결 아래는 엄청난 암투가 진행되고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8. 국민의힘, 김포시를 서울시에 편입하는 방안 검토 (10. 31)
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3/10/30/HSXC4L2SQ5GXJNXF5SMQGZIW54/
국민의힘 “김포 등 서울 생활권 도시, 서울시 편입 추진”
국민의힘 김포 등 서울 생활권 도시, 서울시 편입 추진
www.chosun.com
김포 뿐만 아니라 수도권에서 하남, 고양, 의정부 등 경기도 일부와 인천까지 통합해서 서울광역도라고 하면 일본의 도쿄광역도처럼 서울 자체를 확장해버리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필리핀, 중국도 그렇게 수도권을 크게 한구역으로 만들었죠.
서울 집중화로 인한 문제들이 많아지는 시점에서 서울 면적을 넓혀버리는 것도 아주 인구 분산이나 부동산 투기를 줄일 수 있는 지역 균형 발전의 한 전략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남부의 거점 도시로 부산을 경남권 도시들과 묶으면서 키워준다면 더 좋은 국토개발 계획이 될 것이라고 생각되네요. 전라도 분들은 싫어할 수 있으려나 ㅎㅎ
* 기타 정보
키움증권, 로봇 시장 동향 레포트
: https://ssl.pstatic.net/imgstock/upload/research/industry/1697757552259.pdf
10월은 진짜 스치듯이 지나갔습니다. 국군의 날, 개천절이 엊그제 같은데 한달이 이틀처럼 지나갔습니다.
쉽게 휘발되는 뉴스를 정리해서 보는 것은 일희일비 하지 않아야 하는 투자자에게도 매우 중요한 것 같습니다.
12월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뉴스 생각하며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뉴스 읽기 (2024.1월23일 화) (2) | 2024.01.24 |
---|---|
‘슈링크플레이션’(shrink+inflation)과 기업의 우회 전략 (3) | 2023.11.10 |
2023.10.20(일) 오늘의 경제뉴스 생각하며 읽기 (1) | 2023.10.22 |
2023.10.18(수) 오늘의 경제 뉴스 생각하며 정리하기 (2) | 2023.10.22 |
매.경에서 전하는 세상의 지식 (매-세-지, 10월 13일 뉴스 모음) (0) | 2023.10.13 |